맨위로가기

창사 전투 (193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사 전투 (1939년)는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후난성의 수도 창사를 점령하려 했던 전투이다. 일본군은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체결과 노몬한 전투 패배로 인한 사기 저하를 만회하고, 중국 중부에 괴뢰 정부 수립을 위한 중국의 항전 의지를 꺾기 위해 창사를 공격했다. 일본군은 10만 명의 병력을 투입하여 창사를 포위하려 했으나, 중국군은 종심 방어와 초토화 작전을 통해 일본군의 진격을 막아냈다. 치열한 전투 끝에 일본군은 궤멸되어 후퇴했고, 중국군은 10월 10일까지 이전 영토를 회복했다. 일본군은 전사 850명, 부상 2,700명의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지만, 외국 군사 관찰자들은 3만 명에서 5만 명으로 추산했다. 창사 전투는 일본군의 진격을 격퇴한 최초의 주요 도시 전투로, 중국군의 사기를 높이고 일본군의 중국 남부 세력 확장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중국 - 안공근 암살 사건
    안공근 암살 사건은 1933년 독립운동가 안공근의 사망 사건으로, 그는 안중근 의사의 사촌 동생이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지원했으나, 범인을 찾지 못한 미제 사건으로 남았으며 일본 경찰, 중국 마적, 김구 측근 등 다양한 배후설이 제기되었다.
  • 1939년 10월 - 폴란드 침공
    폴란드 침공은 나치 독일이 폴란드에 대한 영토적 야욕을 실현하기 위해 감행한 군사 작전이자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을 초래한 결정적 사건으로, 독일과 소련의 양면 공격으로 폴란드는 패배하여 분할 점령되었고 유럽 전역으로 전쟁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 1939년 10월 - 소련의 폴란드 침공
    1939년 9월 17일, 소련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에 따라 폴란드의 동부 지역을 침공하여 폴란드를 독일과 함께 분할 점령했다.
  • 1939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39년 일본 - 할힌골 전투
    할힌골 전투는 1939년 만주국-몽골 국경인 할힌골 강에서 일본과 소련이 충돌한 군사 분쟁으로, 일본의 북진론과 소련의 극동 방어 전략이 맞부딪히며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 소련군의 승리로 끝맺어 일본의 대외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창사 전투 (1939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창사 전투 중 일본군
창사 전투 중 일본군
분쟁중일 전쟁
날짜1939년 9월 14일 ~ 1939년 10월 13일 또는 1939년 9월 17일 ~ 1939년 10월 6일
장소창사 및 인근 지역, 중화민국
결과중국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중화민국
교전국 2일본 제국
지휘관 및 지도자
중화민국쉐웨
천청
관린정
양썬
일본 제국오카무라 야스지
사이토 마사토시
나카이 료타로
후지타 신이치
이나바 시로
다나카 시즈이치
아마카스 시게타로
병력 규모
중화민국약 240,000명 (5개 집단군, 1개 군, 7개 군단, 30개 사단)
일본 제국약 120,000명 (제11군, 6개 사단)
12척의 해군 함정
100대 이상의 항공기
100척 이상의 모터 보트
피해 규모
중화민국서방 측 주장: 20,000명 사망 및 부상
중국 측 주장: 40,193명 사망, 부상 또는 실종
일본 측 주장: 44,000명 사망, 4,000명 포로
일본 제국서방 측 추정: 30,000~50,000명 사망, 부상 및 실종
일본 측 주장: 850명 사망, 2,700명 부상

2. 배경

중일전쟁은 발발 2년 이후부터 교착 상태에 들어갔다.[20][11] 1939년 7월, 푸 시니안 교수는 중국군이 강해진 반면 일본군은 약해졌다고 언급했다.

1939년 9월 초, "일본 제국의 중국 파견군" 장군 니시오 도시조와 중장 이타가키 세이시로후난성의 수도인 창사를 점령하고자 했다.[20] 일본 제101사단과 제106사단은 장시성 북부의 간장 강 서안에 배치되었고, 제6, 제3, 제13, 제33사단은 후베이성 남부에서 후난성 북부로 남쪽으로 진격했다.[20]

일본이 공격을 시작한 주요 동기 중 두 가지는 독일 동맹국이 소련의 적과 불가침 조약을 체결한 것과 노몬한에서 소련군에 패배한 것이었다. 따라서 중국에 대한 대규모 공격은 사기를 회복시킬 것이었다.[11] 또한 1939년 9월 1일에 시작된 독일의 폴란드 침공은 일본에게 왕징웨이의 괴뢰 정부를 중국 중부에 수립하기 위한 길을 열기 위해 중국의 항전 의지를 꺾을 추가적인 동기를 부여했다.

총 10만 명의 일본군이 창사로 집결할 것이 분명해졌다. 중국의 전략은 장시성 북부에서 적 부대를 격퇴하고 남쪽으로 가는 길을 포위하는 것이었다.

2. 1. 중일전쟁의 교착

중일전쟁은 발발 2년 이후부터 교착 상태에 들어갔다.[20][11] 1939년 7월, 푸 시니안 교수는 중국군이 강해진 반면 일본군은 약해졌다고 언급했다. 9월 초, "일본 제국의 중국 파견군" 장군 니시오 도시조와 중장 이타가키 세이시로후난성의 수도인 창사를 점령하고자 했다.[20] 일본 101, 106 보병 사단은 장시성 북부의 간장 강을 건너 둑 서쪽으로 집결했고, 6, 3, 13, 33 사단은 후베이성 남부에서 후난 성 북쪽으로 창사 남서부를 향해 진격했다.[20]

일본의 전투 주요 요인 두가지로는 첫째로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으로 독일과 소련이 동맹을 맺은 이후 소련과의 전투인 할힌골 전투에서 패배한 것을 무마하고자 한 것이었다. 또한 중국에서의 거대 전투는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었다.[20][11] 1939년 9월 1일에 시작된 독일의 폴란드 침공은 일본에게 왕징웨이의 괴뢰 정부를 중국 중부에 수립하기 위한 길을 열기 위해 중국의 항전 의지를 꺾을 추가적인 동기를 부여했다.

모두 약 10만명의 일본군이 창사 점령을 위해 모여졌다. 중국 병력은 장시성 북부의 적 열을 붕괴하고 남서부의 진격로를 포위하고자 했다.

2. 2. 일본군의 창사 점령 시도

중일전쟁은 발발 2년 이후부터 교착 상태에 들어갔다. 1939년 9월 초, "일본 제국의 중국 파견군" 장군 니시오 도시조와 중장 이타가키 세이시로후난성의 수도인 창사를 점령하고자 했다. 일본 제101사단과 제106사단은 장시성 북부의 간장 강을 건너 서쪽으로 집결했고, 제6, 제3, 제13, 제33사단은 후베이성 남부에서 후난성 북부로 남쪽으로 진격했다.[20]

일본이 공격을 시작한 주요 동기 중 두 가지는 독일 동맹국이 소련의 적과 불가침 조약을 체결한 것과 노몬한에서 소련군에 패배한 것이었다. 따라서 중국에 대한 대규모 공격은 사기를 회복시킬 것이었다.[11] 또한 1939년 9월 1일에 시작된 독일의 폴란드 침공은 일본에게 왕징웨이의 괴뢰 정부를 중국 중부에 수립하기 위한 길을 열기 위해 중국의 항전 의지를 꺾을 추가적인 동기를 부여했다.

총 10만 명의 일본군이 창사로 집결할 것이 분명해졌다.

2. 2. 1. 일본군의 전략

니시오 도시조이타가키 세이시로후난성의 수도인 창사를 점령하고자 했다. 일본군 101, 106 보병 사단은 장시성 북부의 간장 강을 건너 서쪽으로 집결했고, 6, 3, 13, 33 사단은 후베이성 남부에서 후난 성 북쪽으로 창사 남서부를 향해 진격했다. 이는 장시성 북부와 후베이성 남부에서 동시에 병력을 진격시켜 창사를 포위하려는 전략이었다.[20]

2. 2. 2. 일본군의 동기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으로 독일과 소련이 동맹을 맺은 이후 소련과의 전투인 할힌골 전투에서 패배한 것을 무마하고자 한 것이었다. 또한 중국에서의 거대 전투는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었다.[20][11] 1939년 9월 1일에 시작된 독일의 폴란드 침공은 일본에게 왕징웨이의 괴뢰 정부를 중국 중부에 수립하기 위한 길을 열기 위해 중국의 항전 의지를 꺾을 추가적인 동기를 부여했다.

3. 전투 서열


4. 전투 경과

이후에도 격렬한 전투가 계속되었고, 중국군은 일본군의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해 남쪽으로 후퇴하는 동시에 포위 기동을 위해 동쪽과 서쪽에서 지원 부대가 도착했다.

중국 방어군은 미리 일본군의 병력과 물자를 매복과 기습 기동을 통해 소모시키는 종심방어 전술을 결정했다.[15] 천청 장군의 명령에 따라, 목표는 "결정적인 전투를 위해 적을 창사 부근으로 유인하는 것"이었다.[16]

일본군에게 물자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 중국군은 초토화 작전을 시행하고 지역 민간인을 산으로 대피시켰다.[17]

9월 29일까지, 일본 제6 사단의 선봉대는 창사 외곽에 도달했다. 그러나 다음날 밤 기습 공격으로 일본군은 "6만 명의 중국군이 정면, 후방, 양 측면에 포위"된 상황에 놓였다고 미국의 군사 옵저버가 보고했다.[18]

수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그중 상당수가 사망했으며, 과도하게 늘어난 보급선이 포위되어 완전히 끊어질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일본군은 라오다오강을 건너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관린정 집단군 사령관은 즉시 제52 군단과 제73 군단에게 일본군을 밀뤄강까지 추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쉐위에 장군은 10월 3일 충양현과 웨양 남쪽에 있는 일본군에 대한 전면적인 반격을 명령했다. 중국군은 전선에 포병을 배치하여 후퇴하는 일본군을 포격했다.[17]

10월 5일, 중국군은 오카무라 야스지 장군의 창사 공세를 중단하라는 명령을 받은 일본 항공기를 격추했고, 인근의 중국 제23 사단은 잉톈(현재의 밀뤄)의 일본 해군 항구를 공격하여 여러 척의 선박에 피해를 입혔다. 10월 6일까지, 창사의 일본군은 궤멸되어 후퇴하고 있었다. 이틀 후, 잔여 병력은 밀뤄강을 건너 북쪽으로 도주했고, 중국 제52 군단 제195 사단은 신창강을 건너 그들을 추격하여 이전의 전진 기지를 탈환했다. 밤에는 중국군이 시탕과 야오린을 습격했다.[1]

10월 10일까지, 중국군은 후난성 북부, 후베이성 남부, 장시성 북부의 이전 영토를 완전히 회복했다.[1]

4. 1. 일본군의 초기 공세 (1939년 9월 14일 ~ 9월 23일)

1939년 9월 14일 밤, 나카이 료타로 중장 휘하의 일본군 제106사단은 장시성 펑신 북쪽에서 서쪽으로 진격하여 완바오방의 중국군 제60군단 제184사단과 교전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중국군 방어 부대는 가오안을 포기했다.[1] 그 후, 일본군은 북서쪽으로 이동하여 상푸(上富), 간팡(甘坊), 시우슈이(秀水)를 공격했다.[1] 나카이 료타로와 협력하여 아마카스 지타로 중장의 제33사단은 남쪽에서 관린정의 제15집단군을 공격했다.[12]

9월 17일, 일본군은 장시성의 주요 거점을 점령한 후 창사 공격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일본군 제101사단(사이토 마사토시 소장)과 제106사단은 후난성 창사를 향해 서쪽으로 진군했다. 한편, 제3사단(후지타 신이치 소장), 제6사단(이나바 시로 소장), 제13사단(다나카 시즈이치 대장), 제33사단은 창사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기 위해 후난성 북부를 침공했다. 그러나 일본군은 서쪽으로 너무 멀리 진출하여 남쪽과 북쪽에서 중국군의 반격을 받아 동쪽으로 후퇴해야 했다.

9월 19일, 일본군은 신창강 일대에서 독가스를 대규모로 사용하여 중국군 방어 진지를 공격했다.[14] 일본은 제네바 의정서 (1925년)에 서명하지 않았다.

9월 19일 춘첸지에를 탈환한 후, 왕야오우의 제74군단(제51사단, 제57사단, 제58사단)과 쑹커탕의 제32군단(제139사단, 제141사단)은 9월 22일 반격을 통해 가오안을 탈환했다.

동정호 지도


창사 전투 2차 세계 대전 다큐멘터리


9월 23일, 일본군은 중국군을 신창강 지역에서 몰아냈고, 제6사단과 제13사단은 대규모 포병 지원을 받으며 강을 건너 밀뤄강을 따라 남쪽으로 진격했다. 창사 동쪽에서 해군 함정은 상하이 특별 해군 육전대와 제3사단의 일부를 상륙시켜 창사를 삼면으로 포위했다.[1]

이후에도 격렬한 전투가 계속되었고, 중국군은 일본군의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해 남쪽으로 후퇴하는 동시에 포위 기동을 위해 동쪽과 서쪽에서 지원 부대가 도착했다.

== 종심 방어와 초토화 작전 ==

중국 방어군은 일본군의 병력과 물자를 매복과 기습을 통해 소모시키는 종심방어 전술을 채택했다.[15] 천청 장군의 명령에 따라, "결정적인 전투를 위해 적을 창사 부근으로 유인하는 것"이 목표였다.[16]

일본군에게 물자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 중국군은 초토화 작전을 시행하고 지역 민간인을 산으로 대피시켰다.[17]

4. 1. 1. 종심 방어와 초토화 작전

중국 방어군은 일본군의 병력과 물자를 매복과 기습을 통해 소모시키는 종심방어 전술을 채택했다.[15] 천청 장군의 명령에 따라, "결정적인 전투를 위해 적을 창사 부근으로 유인하는 것"이 목표였다.[16]

일본군에게 물자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 중국군은 초토화 작전을 시행하고 지역 민간인을 산으로 대피시켰다.[17]

4. 2. 중국군의 반격과 일본군의 후퇴 (1939년 9월 23일 ~ 10월 10일)

9월 19일, 일본군은 신창강 일대에 독가스를 살포하며 중국군 방어 진지를 공격했다.[14] 일본은 제네바 의정서 (1925년)에 서명하지 않았다. 같은 날, 왕야오우의 제74 군단과 쑹커탕의 제32 군단은 춘첸지에를 탈환한 후 반격하여 9월 22일 가오안을 탈환했다.[1] 9월 23일, 일본군은 신창강 지역에서 중국군을 몰아냈고, 제6 사단과 제13 사단은 포병 지원을 받으며 밀뤄강을 따라 남쪽으로 진격했다.[1] 일본 해군은 상하이 특별 해군 육전대와 제3 사단 일부를 상륙시켜 창사를 포위하려 했다.[1]

중국군은 종심방어 전술에 따라 일본군을 유인하고, 초토화 작전을 펼치며 민간인을 대피시켰다.[15][17] 9월 29일, 일본 제6 사단 선봉대가 창사 외곽에 도달했지만, 중국군의 기습으로 포위되었다.[18]

일본군은 큰 피해를 입고 보급선이 끊길 위험에 처하자 라오다오강을 건너 후퇴했다. 관린정은 제52 군단과 제73 군단에 추격을 명령했고, 쉐위에는 10월 3일 충양현과 웨양 남쪽의 일본군에 대한 반격을 지시했다. 중국군은 포병을 배치하여 후퇴하는 일본군을 포격했다.[17]

10월 5일, 중국군은 일본 항공기를 격추하고, 일본 해군 항구를 공격하여 선박에 피해를 입혔다.[1] 10월 6일, 창사의 일본군은 궤멸되어 후퇴했고, 중국군은 밀뤄강을 건너 추격하여 이전 기지를 탈환했다.[1] 10월 10일, 중국군은 후난성 북부, 후베이성 남부, 장시성 북부의 이전 영토를 완전히 회복했다.[1]

5. 피해 규모

일본군은 창사 공격이 영구 점령이 아닌 기습 공격이었다고 주장하며, 전사 850명, 부상 2,700명의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17] 반면, 외국 군사 관찰자들은 일본군 사상자를 약 30,000명으로 추산했고,[17] 군사 역사가 마이클 클로드펠터는 일본군 총 사상자를 약 50,000명으로 추산했다.[19] 중국군의 피해에 대해서는, 외국 군사 관찰자들은 전사 및 부상자를 약 20,000명으로 추산했다.[17]

6. 결과 및 영향

창사 전투는 일본군의 진격을 성공적으로 격퇴한 최초의 주요 도시였다. 창사를 지켜낸 것은 중화민국 국군이 일본군이 중국 남부에서 세력을 확장하는 것을 막는 데 기여했다. 창사 방어 사령관인 쉐웨 장군은 중화민국 육군군관학교 출신으로, 장제스의 충실한 지지자였다.

참조

[1] 웹사이트 兵临城下:四次长沙会战 http://www.huawenku.[...] 2015-04-20
[2] 웹사이트 1939年10月7日 第一次长沙会战结束,日军被击退 https://web.archive.[...] 2015-04-24
[3] 웹사이트 Controlling Changsha, Controlling China https://www.historyn[...] 2017-04-05
[4] 웹사이트 第一次長沙會戰 https://web.archive.[...] 2015-04-20
[5] 서적 Tower of Skulls: A History of the Asia-Pacific War: July 1937-May 1942 W. W. Norton & Company 2020
[6] 서적 抗日战争湖南战场史料(一) 2012
[7] 서적 The Japanese Eleventh Army in Central China
[8] 서적 Tower of Skulls: A History of the Asia-Pacific War: July 1937-May 1942 W. W. Norton & Company 2020
[9] 문서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10] 서적 Tower of Skulls: A History of the Asia-Pacific War: July 1937-May 1942 W. W. Norton & Company 2020
[11] 문서 War and Nationalism in China, 1925–1945
[12] 웹사이트 The Great Fire and the First Battle of Changsha 1938-1939 http://www.combinedf[...] 2015-04-19
[13] 간행물 Poison Gas, the Story Japan Would Like to Forget. 1988-10
[14] 웹사이트 Controlling Changsha, Controlling China https://www.historyn[...] 2014-07
[15] 서적 Forgotten Ally: Chinese World War II, 1937-1945 Houghton Mifflin Harcourt
[16] 서적 The Sino-Japanese War Macmillan 1974
[17] 서적 Tower of Skulls: A History of the Asia-Pacific War: July 1937-May 1942 W. W. Norton & Company 2020
[18] 서적 Storm Clouds Over the Pacific: 1931-1941 Casemate 2018
[19]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2015
[20] 문서 War and Nationalism in China, 1925–19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